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59034?language=oracle

 

코딩테스트 연습 - 모든 레코드 조회하기

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기본적인 SELECT문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nimal_id 순으로 정렬이 필요해 order by를 통해 ASC(오름차순) 정렬

1
2
SELECT * FROM ANIMAL_INS
ORDER BY ANIMAL_ID ASC;

 

반응형

'DB(Oracle) > Programmers(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기준으로 정렬하기_SELECT  (0) 2020.05.28
동물의 아이디와 이름_SELECT  (0) 2020.05.28
어린 동물 찾기_SELECT  (0) 2020.05.28
아픈 동물 찾기_SELECT  (0) 2020.05.28
역순 정렬하기_SELECT  (0) 2020.05.28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삽입/삭제/수정을 할 수 있다

Oracle, MSQL, MySQL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DBMS에 해당

 


[ DMBS의 특성 ]

  •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
    - 한 속성에 가해진 변경이 동일한 테이블의 다른 속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
    - 응용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 구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

  •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 DB 데이터는 실세계에 적용하는 규칙을 항상 만족해야 한다
    - 서로 다른 부분에 있는 두 개의 데이터가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데이터 일관성)

  • 비정규 질의
    - 사용자는 작업을 실행하는 방법을 명시하지 않고도 어떤 데이터를 조회할 것인지를
      명령할 수 있다

 

 


[ DMBS의 기능 ]

1. 정의(Definition)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Type)과 구조에 대한 정의,
  이용 방식, 제약 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

 

2. 조작(Manipulation)

  데이터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을 체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

 

3. 제어(Control)

  -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는 갱신 삽입 삭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되도록 해야한다.

  -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동시에 접근해 데이터를 처리할 때 처리결과가 항상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병행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데이터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고 권한을 감시해야 한다

반응형

'DB(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구성 요소  (0) 2020.03.30
데이터베이스(Data Base)  (0) 2020.03.29

 

학적 테이블

 

[개체(Entity)]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는 유형 무형의 정보

    개체는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고, 정보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 20001001, 홍길동, 경찰행정, 1234 ] 이라는 값은 한 학생 개체를 표현할 수 있는 값,

    이것을 개체 어커런스(Entity occurrence) = 개체 인스턴스 = 레코드 라고 표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개체 인스턴스의 집합을 저장하는 것

 

    하나의 개체는 하나 이상의 속성(또는 애트리뷰트)로 구성된다.

    또한 속성의 이름들로 구성된 레코드를 개체 타입(Entity type)이라고 한다.


[속성(Attribute)]

    이름을 가진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위의 테이블과 같이 학생 개체의 학번, 성명, 학과, 전화를 나타내는 세부 항목들이 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체(Entity)의 성질, 분류, 수량, 상태 등을 나타내는 세부 항목이다.

 

   한 속성의 값들, 즉 한 열을 필드(Field)라고 한다.

   

반응형

'DB(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0) 2020.03.30
데이터베이스(Data Base)  (0) 2020.03.29

자료(Data)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값

정보(Information)

  •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
    자료(Data)를 가공(처리)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의미

데이터베이스(DataBase)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여 저장한 운영데이터의 집합
  • 공동의 목적을 지원하기 위한 서로 관련된 자료들의 모임
  • 주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데이터들의 모음

즉, 데이터베이스란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인 정보(Information)의 결과를 만들기 위한 자료(Data)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1.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흩어져 있지 않고 한곳에 있어야 함
  -
모든 데이터가 중복을 최소화하면서 통합

 

2. 저장 데이터(stored data)

  - 컴퓨터에서 처리가 가능하도록 전자적 형태로 저장
  -
디스크, 테이프 등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3.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유지되어야 할 데이터

 

4. 공용 데이터(shared data)

  - 한 조직의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 유지, 이용하는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 어느 한 조직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통합 저장운영 데이터

 

  • 시간 접근이 가능(real-time accessibilities)
    -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query)(=요구)에 대해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로 응답

  •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insert), 삭제(delete), 갱신(update)로 항상 변하고, 그 속에서 현재의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음

  • 동시 공유 가능(concurrent sharing)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자기가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 가능

  • 내용에 의한 참조(content reference)
    - 데이터의 레코드 위치(location)나 주소(address)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내용,
      즉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값에 따라 참조
    -
    모든 레코드들은 물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취급되고 접근
       ( C++에서처럼 포인터로 주소 접근하는 방식이 아닌 값 그 자체로 접근 )

 


 

반응형

'DB(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0) 2020.03.30
데이터베이스 구성 요소  (0) 2020.03.30

+ Recent posts